-
늙었다 믈너가쟈 마음과 의론하니 이 님을 바리고 어드러로 가쟛 말고 마음아 너란 잇거라 몸만 몬저 가리라. ~송순(宋純;1493~1583)~ <해설> 나도 이미 늙었으니 뒤로 물러가자 하고 내 마음과 의논했더니 이 고운님을 버리고 어디로 가잔 말인가 한다, 마음아 너는 좀 더 남아 있거라 이 몸은 먼저 가..
솔이 솔이라 하니 므슨 솔만 너기는다 千尋 絶壁의 落落 長松 내 긔로다 길 아래 樵童의 졉나시야 거러 볼 줄 이시랴 ~솔이~ <해설> 솔이 솔이라고 하는데 무슨 솔 나무로 생각하는가, 천길 절벽의 낙낙 장송이 바로 나인 것이다. 내 아무리 기생이라 하더라도 보통 있는 그런 기생이 아니다. 길 아..
마음이 어린 後니 하는 일이 다 어리다 萬重雲山에 어늬 님 오리마는 지는 닙 부는 바람에 행혀 긘가 하노라 ~서경덕(徐敬德;1489~1546) <해설> 마음이 어리석으니 하는 짓이 죄다 어리석다. 구름이 겹겹으로 쌓인 이 같은 산속에 어느 님이 찾아올까마는 흩날리는 나뭇잎과 바람소리에 어쩌면 그 님 ..
꿈에 曾子께 뵈와 事親道을 뭇자온듸 曾子曰 嗚呼라 小子야 드러서라 事親이 豈有他哉리오 敬之而已라 하시더라 ~조광조(趙光祖;1482~1519) <해설> 꿈에 증자를 뵙고서 어버이는 모시는 도리를 물었더니 증자께서 말씀하시기를 오 이사람 그것도 모르나? 들어 보게나 어버이를 받드는 일이 별다른 ..
내 언제 信이 업서 님을 언제 소겻관듸 月沈 三更 에 온 뜻이 전혀 업늬 秋風의 디는 님 소리야 낸들 어이 하리오 <해설> 내가 언제 한 번이라도 신용이 없게시리 임을 속인 일이 있기에 깊어진 달밤 한 밤중에 온 표적이 전혀 없구나, 가을바람에 떨어 지는 나뭇잎 소리에도 내가 아니 속고 어이 하..
귀거릐 귀거릐하듸 말 뿐이니오 가니 업늬 田園이 將蕪하니 아니 가고 엇디할고 초당의 청풍명월은 나며들며 기다린다. ~이현보(李賢輔;1467~1555)~ <해설> 돌아가련다, 돌아가련다 해도 모두 말뿐이고, 정말로 돌아간 이는 없구나 전원이 점점 거칠어져 가는데 아니 가고 어찌 할꼬 더구나 초당의 청..
간밤에 지게 여던 바람 살드리 날 속여다 風紙 소리에 님이신가 반기온 나도 의다마는 진실로 들나곳 하더면 밤이조차 우을낫다. ~이름 모름~ <해설> 어젯밤에 문 열던 그 바람 살뜨리도 나를 속였구나, 문풍지 소리에 임이 나를 찾아온 소리인가 잘못 알고 반가워서 문을 열고 나가본 나도 틀렸다 ..
삿갓에 되롱이 닙고 細雨中에 호믜 메고 山田을 흣매다가 錄陰에 누어시니 牧童이 牛羊을 모라 잠든 날을 깨와다 ~김굉필(金宏弼;1454~1504) <해설> 삿갓 쓰고 도롱이 입고 가랑비가 촉촉이 내리는 가운데 호미를 들고 산 속의 밭을 매다가 나무 그늘에서 잠간 쉬었는데 어느덧 잠이 들었다. 얼마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