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뇌 경색 3시간이 생사를 죄우한다건 강/건강 정보 2012. 2. 29. 17:03
뇌졸중은 뇌혈관이 터지는 뇌출혈과 뇌혈관이 막히는 뇌경색으로 크게 나뉜다. 뇌졸중은 갑자기
어지럽거나, 갑자기 한쪽이 마비되는 등 갑자기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예전에는 뇌출혈의 발병률이
높았으나 서구식 생활습관 때문에 뇌경색 발병률이 전체 뇌졸중의 약 80%를 차지하고 있다. 미리
예방하고 전조증상이 발생하였을 때 신속하게 병원으로 가는 것이 치료에서 가장 중요하다.
뇌경색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시간’이다 뇌경색이 발병하면 그때부터 일 분 일 초가 생명과 직결
된다. 학계에서 뇌경색 전조 증상을 보인 후 3시간 이내를 ‘골든타임’이라고 부르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골든타임 안에 적절한 응급처치를 할 수 있는 병원에서 적합한 치료를 받으면 정상 또는 장애를
거의 의식하지 않을 수 있는 상태까지 치료할 수 있다.
* 갑자기 한쪽 눈이나 양쪽 눈에 이상이 생긴다
물체가 잘 보이지 않거나 두 개로 보인다. 또는 한쪽 눈만 보이거나 물체가 절반만 보이기도 한다.
접시 우측에 고기가 있고 좌측에 생선이 있어도 한쪽만 보여 다른 음식이 있다는 것을 모르기도 한다.
그래서 보이는 쪽 음식만 먹는다.
* 갑자기 몸의 균형을 잡지 못하고 조절을 못 한다
똑 바로 서기 어렵고 술에 취한 것처럼 비틀거리면서 잘 걷지 못한다.
* 갑자기 말하고 듣는 것에 문제가 생겨 혼란스러워한다
상대의 말을 이해하지 못하고 생각대로 말이 나오지 않는다. 혀가 마음대로 움직이지 않아 말을 더듬는다.
말은 잘하나 엉뚱한 대답을 하거나 문장을 제대로 구사하지 못한다.
* 갑자기 극심한 두통이 있다
극심한 두통과 함께 구토를 하기도 한다. 특히 뇌압이 갑자기 상승하거나 뇌동맥류가 파열되면 극심한
두통이 생긴다.
* 갑자기 얼굴이나 팔다리에 힘이 빠지거나 마비가 온다
뇌경색의 대표적인 전조증상이 운동 장애다. 좌우 뇌 중 이상이 생긴 뇌혈관의 반대쪽 신체에 마비가
생기기 때문에 대부분 몸의 절반만 문제가 생긴다. 드물게는 신체 중 팔이나 다리 등 특정 부위만 마비가
오기도 하고 전신 마비가 오기도 한다. 하지만 대체로 신체 한쪽만 마비가 생긴다. 아예 움직이지 못하기도
하지만 단순히 저린 듯 몸의 한쪽 감각이 둔해지기도 한다. 또는 팔다리에 갑자기 힘이 빠지고 있던 물건을
놓치기도 한다.
* 갑자기 심하게 어지럽다
땅이나 천장이 빙글빙글 도는 것처럼 어지럽다. 주변은 가만히 있는데 나 혼자 도는 것 같고 현기증이 난다.
귀에서 소리가 날 때도 있다. 심하면 구토를 한다.
♣ 전문 병원으로 구급차를 이용하여 빨리 가라
많은 사람이 주위사람들과 자신에게 전조 증상이 나타났을 때 뇌졸중과 관련되리라고는 상상도 못한다.
또한 설령 뇌졸중이라는 것을 알았다고 하더라도 뇌졸중이 응급조치를 요한다는 것을 알지 못해 초기 대처에
늑장을 부리곤 한다. 초기 대처에서 가장 중요한 점은 뇌졸중이 발병했을 때 가능한 한 빨리 전문병원으로
옮기는 것이다. 환자를 긴박하게 옮기는 상황에서 많은 사람이 무작정 가까운 병원으로만 가려고 하는데
거리가 좀 있더라도 전문병원을 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뇌졸중을 빠르고 정확하게 진단하고 치료하려면
신경과나 뇌신경외과 전문의가 상주하는 전문병원이나 이에 상응하는 시스템이 구축된 응급실을 찾아야
한다. 막힌 혈관을 뚫어야 하는 뇌경색과 터진 혈관을 막아야 하는 뇌출혈은 치료 방법이 정반대다. 따라서
오랜 임상을 통해 숙련된 전문 의료인의 치료를 받아야 한다. 뇌졸줄 위험 인자가 있거나 가족력이 있다면
평소에 가까운 곳에 있는 전문병원 응급실 번호를 알아두는 것이 급한 상황이 발생을 때 큰 도움이 된다.
병원에 갈 때는 ‘구급차를 부르는 습관’이 중요하다. 집 밖으로 나가면 바로 택시를 잡을 수 있거나, 자가용을
이용할 수 있다. 하지만 교통 체증과 교통신호 등을 고려하면 구급차가 응급실에 더 일찍 도착한다는 조사가
있다. 그런데도 구급차를 이용하는 비율은 56.3% 밖에 되지 않는다.
♣ 평평한 곳에 눕히고 기도를 확보하라
일단 구급차를 부르고 난 후에는 환자를 평평한 바닥에 편안하게 눕힌다. 환자의 의식 정도만을 확인한다.
심하게 흔들어 깨우는 행동은 뇌에 불필요한 자극을 주어서 상태를 악화시킬 수 있다. 또한 손이나 발을
바늘로 따는 경우가 있는데 통증으로 혈압이 갑자기 올라가 증상을 악화시킬 수 있으니 삼가야 한다. 환자가
걸을 수 있더라도 혼자 걷게 하지 말고 이동을 쉽게 할 수 있는 곳에 눕히고 구급차를 기다리게 한다. 혹시
구토를 했거나 틀니가 있으면 제거하여 기도를 확보해 준다. 간혹 물이나 청심환 같은 약물을 억지로 먹이는
경우가 있는데 이런 행동은 환자를 질식하게 하거나 폐렴을 유발할 수 있으니 삼가야 한다. 머리를 높이 들어
올리면 숨쉬기가 힘들므로 베개나 수건을 포개어 목이 일직선이 되도록 한다. 그러면 머리가 뒤로 젖혀
기도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넥타이, 벨트처럼 몸을 죄는 것은 모두 풀어준다.
'건 강 > 건강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망증일까, 치매일까? (0) 2012.03.02 치매와 뇌졸줄은 같은 병..? (0) 2012.02.29 주부습진일까, 손 무좀일까? (0) 2012.02.29 손목터널증후군 (0) 2012.02.29 골다공증 (0) 2012.02.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