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근시는 텔레비젼 탓이 아니다건 강/건강 정보 2010. 1. 19. 11:08
아이들이 근시가 되면 엄마들은 금방 텔레지젼 탓으로 돌리고 싶어 한다.
이것은 반드시 옳지가 않다. 텔레비전을 본 것이 직접적인 원인이 되어서
근시가 되는 일은 없다. 미국의 안과의사가 텔레비전과 근시의 관계에
대해서 대규모적인 연구를 한 결과에 의하면 인과관계가 없다고 한다.
텔레비전을 바르게 보는 방법으로서는 텔레비전을 눈의 높이 정도의
위치에 두고 2.5m쯤 떨어져서 정면에서 보도록 한다. 아이들은 기껏해야
1시간 정도가 한도이며 그 다음은 30분쯤 쉬도록 한다. 또 실내의 조명은
화면에 비치지 않도록 하고 콘트라스트는 너무 강하지 않도록 주의한다.
텔레비전도 바르게 보고 있으면 굳이 눈에 가시처럼 취급할 필요는 없다.
그것보다는 텔레비전을 볼 때에 아이들의 태도를 보고 있으면 눈의 병을
발견할 수도 있다. 아이들이 턱을 당기고 눈을 치뜨고 본다든가, 목을 왼쪽
이나 오른쪽으로 기울이고 본다든가 할 경우는 안구진탕증(眼球震盪症)
이라고 하는, 안구가 끊임없이 움직이는 병에 걸려있는 수가 있다.
또 사시(斜視)나 근시(近視)에 걸려 있으면 자주 눈을 가늘게 뜨고 보게
된다. 어린 아이들에 한해서 텔레비전에 바싹 붙어서 보고 싶어하는데
때로는 약시(弱視) 등 시력에 문제가 있는 예도 적지 않다. 또 젊을 때
공부를 지나치게 해서 근시가 되었다고 투덜대는 사람도 있지만 이것도
텔레비전과 마찬가지로 방법이 나빴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서 독서나
공부를 할 때의 자세나 조명에 문제가 있다. 눈과 책을 30cm이상 떨어지게
하는 것은 물론이고 책과 시선의 방향이 직각이 되도록 하면 눈이 편하다.
그러므로 책을 책상위에 놓고 보기보다 독서대를 쓴다든가 두꺼운 책을
몇 권 포갠 뒤 읽으려고 하는 책을 그것에 비스듬히 세우고 읽으면 좋다.
가족건강 지침서
'건 강 > 건강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혈압이라도 고기는 먹어야 (0) 2010.01.19 지나치게 일찍 일어나는 것은 건강에 좋지 않다 (0) 2010.01.19 머리를 자주 감아도 머리카락은 상하지 않는다 (0) 2010.01.19 안약을 사용하면 역효과가 난다 (0) 2010.01.19 껌으로 충치는 막을 수 없다 (0) 2010.01.18